본문 바로가기
육아이야기

놀이 학습 최고의 공부법

by paronte 2022. 4. 16.

놀이 학습은 아이들에게 최고의 공부법입니다. 아동기는 아이의 평생이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만 3세 전에는 다양한 오감을 자극해서 두뇌를 발달시키고, 엄마 아빠와의 다정한 스킨십과 충분한 애정으로 부모와 애착을 다지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부모는 아이가 만 3세 이후에 호기심을 갖고 세상을 향한 탐험을 시작할 때, 아이가 무엇이든 충분히, 그리고 마음껏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또 다양한 놀이 학습을 시도해보며 아이의 호기심이 어디로 향하는지 잘 관찰하고 탐색해서 아이의 재능과 소질을 발견하고 지속적으로 키워주어야 합니다.놀이 학습은 취학 전 아이에게 최고의 공부법입니다. 아이가 무엇이든 놀이처럼 즐겁게 할 수 있다면 괜찮지만 아이가 조금이라도 스트레스를 받아한다면 레벨을 높여서는 안 됩니다. 아이의 선호도를 거스른다면 뇌 발달에 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자기 수준보다 너무 어려워지면 오히려 아이는 좌절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아 역효과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특정한 뇌 부위가 발달하기 전에 너무 많은 자극을 주면 뇌 회로가 망가져서 이후 관련 뇌 부위의 발달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또래에 비해 높은 수준을 가진 것처럼 보이더라도 무리하게 선행하지 않고 뇌 발달 시기에 맞춰 학습하면 뇌에 큰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학습 효과를 몇 배로 낼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하겠습니다.

1. 놀이 시간

돌 전 아이가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은 2~3분, 생후 18개월의 아이들이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은 겨우 5분입니다. 뇌 부위 중에서 '이마엽'이라는 곳에서 집중력을 담당하는데 이곳이 발달하는 시기는 만 5~6세 이기때문에 만 3세 이전에는 집중력을 키워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시기의 아이들이 여러 가지 장난감을 잠깐 씩 가지고 노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행동입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장난감을 가지고 좋아하는 놀이를 하게 되면 아이는 장난감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기 때문에 조금 더 오랜 시간 집중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아이가 놀이를 할 때는 스스로 완성되었다고 생각할 때까지 충분히 기다려 주어야 합니다. 아이들이 성취감을 느끼면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어 아이가 더 의욕적으로 행동한다고 합니다.

놀이 학습은 두뇌발달 뿐 만 아니라 신체 발달과도 연관됩니다. 따라서 인지 발달을 위한 학습이건 운동발달을 위한 학습이건 모든 학습은 놀이 형태여야 합니다. 아이가 놀이에 더 몰입하고 싶어 하면 단계를 조금씩 높여서 학습으로 연결해주면 됩니다. 다만 아이 놀이 안에 엄마가 원하는 한글이나 영어, 수학 같은 학습을 끼워 넣으면 안 됩니다. 아이의 놀이는 부모가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 스스로 주도해야 하며, 스스로 주도하는 놀이야 말로 가장 학습 효과가 높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2. 그림책 선택하기

두뇌발달에 도움이 되는 그림책은 어떤 것일까요? 신생아의 경우 색깔을 구분하지 못합니다.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 정도만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때 그림책을 보여준다면 검은색이나 빨간색 위주로 된 책이 좋습니다. 또 그림은 세밀하기보다 단순한 도형으로 구성된 책이 좋습니다. 생후 12개월 전후로는 사물 그림책을 추천합니다. 실제 사진이 들어있는 책이나 보다 정교하고 세밀한 그림도 좋습니다. 생후 12~24개월에는 생활 그림책이 좋습니다. 아이의 생활과 밀접한 옷 입기, 이 닦기, 목욕하기, 잠자기와 같은 소재의 책이나, 바깥활동을 주제로 하는 동물원, 놀이터, 교통수단에 관련된 책도 추천합니다. 만 3~4세가 되면 보다 깊이 있는 그림책을 준비합니다. 줄거리가 있는 전래동화나 명작, 또는 사실적인 그림이 있는 인체에 관한 과학 그림책도 좋습니다. 나이에 맞게 아이의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책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장난감 선택하기

아이의 두뇌발달에는 장난감도 중요합니다. 장난감도 아이의 뇌 발달 시기에 맞춰 구입한다면 몇 배의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장난감을 구입할 때는 가능한 오감을 모두 발달시킬 수 있는 것으로 고릅니다. 또 상상력을 키워 줄 수 있는 단순한 장난감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난감이면 더욱 좋습니다.생후 3개월 이전의 아이들에게는 오감을 자극할 수 있도록 소리가 나고 불빛이 나오는 장난감이 좋습니다. 생후 4~6개월에는 평면보다는 입체적인 자극을 줄 수 있는 장난감이 좋습니다. 단 이시기에는 입으로 가져가는 시기이기 때문에 입으로 가져가도 안전한 장난감을 준비합니다.생후 7~12개월이 되면 누르면 소리가 나는 전화기 장난감처럼 원인과 결과를 알 수 있는 장난감이 좋습니다. 생후 13~18개월에는 아이가 서서히 걷기 시작하므로 대근육, 소근육 발달에 도움이 되는 장난감을 준비합니다. 대근육 발달에 좋은 타는 장난감, 끌고 다니는 장난감이나 소근육 발달에 도움이 되는 블록이나 퍼즐을 추천합니다. 생후 19~24개월에는 소근육이 발달하므로 이전보다 조각이 작은 불록이나 역할놀이를 할 수 있는 소꿉놀이 장난감도 좋습니다. 만 3세 정도 되면 아이 스스로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건반악기나 아이 클레이 등이 좋습니다. 만 4~6세가 되면 보다 전문적인 미술, 음악 교육을 병행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때 아이가 잘하고 좋아하는 놀잇감을 마련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